소식
새소식
보도자료
부천문화재단_부천문화재단, ‘제1회 그림과 글로 만나는 펄 벅 시상식’ 개최
-
작성일
2025-09-19
-
조회수
66
부천문화재단, ‘제1회 그림과 글로 만나는 펄 벅 시상식’ 개최
- 제17회 펄 벅 탄생 기념 그림그리기 대회, 유치부부터 중등부까지 총 24명 수상
- 제16회 펄벅기념문학상, 초등부부터 청년부까지 총 30명 수상
- 제16회 펄벅기념문학상, 초등부부터 청년부까지 총 30명 수상
부천문화재단(대표이사 한병환)이 운영하는 부천펄벅기념관은 지난 9월 13일 기념관 야외공원에서 ‘제1회 그림과 글로 만나는 펄 벅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세계적인 작가이자 인도주의자인 펄 벅(Pearl S. Buck)의 삶과 정신을 기리기 위해 마련됐으며, 제17회 펄 벅 탄생 기념 그림그리기 대회와 제16회 펄벅기념문학상을 합동으로 시상해 더욱 뜻깊은 자리가 됐다.
시상식에는 부천미술협회 조춘제 화백, 부천신인문학상 운영위원회 간호윤 위원장, 수주문학제 운영위원회 박희주 회장, 한국문인협회 부천지부 이종헌 부회장과 김성배 시인 등 지역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참석해 수상자들을 축하했다.
제17회 펄 벅 탄생 기념 그림그리기 대회는 지난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부천시청 잔디광장에서 개최됐으며, 주제는 펄 벅의 작품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를 바탕으로 한 ‘시련을 이겨낸 우리 민족의 광복 이야기’였다. 이후 8월 22일 심사를 통해 유치부, 초등부, 중등부에서 총 24명의 수상자가 선정됐다.
또한 제16회 펄벅기념문학상은 ‘다문화 사회’를 주제로 운문(시), 산문(수필, 소설) 두 분야로 진행됐으며, 지난 8월 7일 심사를 거쳐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청년부에서 총 30명의 수상자가 탄생했다.
부천문화재단 한병환 대표이사는 환영사에서 “펄 벅의 존재는 부천이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로 지정되는 데 큰 힘이 됐다”며 “앞으로 수상자들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수상자 명단과 세부 내용은 부천시박물관 누리집(bcmuseum.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부천펄벅기념관은 펄 벅의 문학적 가치와 문화다양성의 정신을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과 기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기념관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입장은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이번 행사는 세계적인 작가이자 인도주의자인 펄 벅(Pearl S. Buck)의 삶과 정신을 기리기 위해 마련됐으며, 제17회 펄 벅 탄생 기념 그림그리기 대회와 제16회 펄벅기념문학상을 합동으로 시상해 더욱 뜻깊은 자리가 됐다.
시상식에는 부천미술협회 조춘제 화백, 부천신인문학상 운영위원회 간호윤 위원장, 수주문학제 운영위원회 박희주 회장, 한국문인협회 부천지부 이종헌 부회장과 김성배 시인 등 지역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참석해 수상자들을 축하했다.
제17회 펄 벅 탄생 기념 그림그리기 대회는 지난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부천시청 잔디광장에서 개최됐으며, 주제는 펄 벅의 작품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를 바탕으로 한 ‘시련을 이겨낸 우리 민족의 광복 이야기’였다. 이후 8월 22일 심사를 통해 유치부, 초등부, 중등부에서 총 24명의 수상자가 선정됐다.
또한 제16회 펄벅기념문학상은 ‘다문화 사회’를 주제로 운문(시), 산문(수필, 소설) 두 분야로 진행됐으며, 지난 8월 7일 심사를 거쳐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청년부에서 총 30명의 수상자가 탄생했다.
부천문화재단 한병환 대표이사는 환영사에서 “펄 벅의 존재는 부천이 유네스코 문학창의도시로 지정되는 데 큰 힘이 됐다”며 “앞으로 수상자들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수상자 명단과 세부 내용은 부천시박물관 누리집(bcmuseum.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부천펄벅기념관은 펄 벅의 문학적 가치와 문화다양성의 정신을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과 기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기념관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입장은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부천시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